캐나다 유학 후 이민을 목표로 한다면, PGWP(Post-Graduation Work Permit, 졸업 후 워크퍼밋)가 필요하다는 것은 다 알고 계실텐데요,
2024년 하반기부터 캐나다 정부는 PGWP 발급 요건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이 때문에 캐나다 유학 후 영주권 취득 경로가 예전과는 달라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학위 프로그램인지, 일반 컬리지 프로그램인지에 따라 조건이 달라졌고, 컬리지 프로그램의 경우 가능한 전공 분야가 별도로 지정되어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PGWP 발급 자격을 학위 프로그램과 비학위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정리해드리고, 컬리지 프로그램 중에서 PGWP가 가능한 분야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PGWP란 무엇인가
PGWP는 캐나다에서 학업을 마친 후 최대 3년 동안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워크퍼밋입니다. 이 퍼밋을 가지고 취업하여 경력을 쌓아서 영주권(Express Entry, PNP 등)을 준비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고용주 제약 없이 자유롭게 취업 가능한 오픈워크퍼밋입니다.
2. 학위 프로그램 졸업자의 PGWP 조건
대상: 학사(Bachelor), 석사(Master), 박사(PhD)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
- 학위 수준: 학사, 석사, 박사
- 기관: DLI로 지정된 공립대학 또는 공립 컬리지
- 수업 형태: 전체 과정의 최소 50%는 인-캠퍼스 수업이어야 함 (온라인 수업 50% 이하만 인정)
- 최소 수업 기간: 8개월 이상
- PGWP 유효기간:
- 16개월 이상 석사 및 박사 과정 → 최대 3년
- 학사 4년 과정 → 최대 3년
- 1~2년 단기 석사 프로그램 → 최대 2년 (학교에 따라 차등)
특징:
- 전공과 무관하게 PGWP 발급 가능
- 분야 제한 없음 (예: 비-STEM, 인문, 예술 전공도 가능)

3. 컬리지/비학위 프로그램 졸업자의 PGWP 조건
대상: Diploma, Certificate, Advanced Diploma 등 비학위 과정을 이수한 경우
- 기관: 공립 컬리지에 한해 가능
- 수업 형태: 인-캠퍼스 수업 50% 이상 필수
- 최소 수업 기간: 8개월 이상
허용 분야
2025년부터 캐나다는 비학위 프로그램 졸업자에게 PGWP(Post-Graduation Work Permit)를 제한적으로 발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6월 25일자 개정안에서는 새로 포함된 전공이 발표되며 전체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2025년 7월 현재 기준 PGWP를 받을 수 있는 일반적인 전공 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PGWP 발급이 가능한 비학위 프로그램의 일반 분야
다음 5대 분야에 속하는 공립 컬리지의 비학위 프로그램(Diploma, Certificate 등)은 대부분 PGWP 신청이 가능합니다.
1-1. 보건의료(Healthcare)
- 간호조무사(Nursing Assistant, Practical Nurse)
- 물리치료 보조(PTA)
- 약국조제 보조(Pharmacy Assistant)
- 의료행정, 위생관리
- 심리, 사회복지 보조 (Child and Youth Care 포함)
- 치과 보조(Dental Assisting)
1-2.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 컴퓨터 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 개발
- 데이터 분석, AI, 사이버보안
-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 기초 생명과학, 환경공학
1-3. 무역 기술(Trades)
- 전기 기술(Electrical Technician)
- 배관(Plumbing)
- 목공(Carpentry)
- 용접(Welding)
- HVAC(냉난방 설비)
- 제과제빵/푸드프로세싱(특정 코스만 인정)
1-4. 운송 및 중장비(Transportation & Mechanics)
- 트럭 및 버스 정비
- 중장비 정비
- 항공기 정비(Aircraft Maintenance)
- 자동차 진단/수리
- 농기계 수리
1-5. 농업 및 식품(Agriculture & Agri-food)
- 농작물 및 축산관리
- 농산물 가공 및 유통
- 온실·시설재배 기술
- 식품위생/식품가공
2) 2025년 6월 25일 이후 신규 포함 전공 예시
2025년 6월 발표로 119개의 프로그램이 추가, 178개가 제외되며 다음과 같은 전공들이 새롭게 포함되었습니다.
- Civil Engineering Technician
- Advanced Electrical Applications
- Applied Construction Management
- Agricultural Equipment Repair
- Mechanical Engineering Technology
- Steamfitting/Pipefitting
- Child and Youth Care
- Network Systems Technician
-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 Applied AI & Analytics (출처: IRCC 공식공지, NBCC 전공 목록)
이들은 기존 5대 분야 안에 포함되거나 세부 산업 수요에 따라 새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3) 불가능한 전공 예시
아래 전공은 2025년 기준 PGWP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비즈니스 일반 / 회계 / 경영학
- 마케팅 /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 패션디자인 / 미용 / 피부미용
- 관광경영 / 호텔경영
- 요리일반 / 조리사 일반과정 (제과기술 제외 가능성 있음)
- 사립 컬리지 전공 전부 (일부 예외 제외)
대부분의 학교(컬리지)에서 웹사이트를 통해 어떤 전공이 PGWP가 가능한지 안내하고 있습니다. 원하시는 전공과 학교를 반드시 찾아보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더 확실한 기준은 캐나다 정부의 CIP 코드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세부 리스트를 볼 수 있고 검색도 할 수 습니다. 본인의 전공과 관련된 코드가 해당되는지 반드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영어 요건
- 비학위 프로그램: CLB/NCLC 5 이상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모두 충족)
불인정 사례:
- 사립 컬리지
- 경영, 회계, 마케팅, 패션, 요리 등 일반 서비스 전공
- 온라인 50% 초과 이수
공통 신청 요건
- 캐나다 내 지정교육기관(DLI)에서 졸업
- 졸업 후 180일 이내 신청
- 학업 중 대부분 풀타임 유지 (마지막 학기는 예외 가능)
- Study Permit이 유효한 상태에서 신청
- 여권 만료일이 PGWP 기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4. PGWP에서 영주권으로 연결하는 전략
PGWP를 통해 최소 1년 이상 경력을 쌓은 후, 다음 이민 경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Express Entry (CEC): PGWP를 이용한 경력 1년 + 영어 점수로 신청
- PNP (주정부 이민): 지역 경력 보유자로서 별도 지원 가능
- RCIP(지방 이민): 경력 + 일자리
2025년 현재, 캐나다 유학을 통한 이민을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전공 선택이 PGWP 가능 여부에 결정적입니다.
비학위 프로그램의 경우, 단순히 컬리지에 입학했다고 해서 PGWP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5대 일반 분야 또는 신규 포함 전공 코드를 기준으로 학과를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상황과 조건에 맞춰 학업 계획과 전공 선택을 신중히 세워서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할 때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력을 최소화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관련 글 보기
캐나다 eSIM 요금제 퍼블릭모바일로 저렴하게 캐나다 핸드폰 개통하는 법
캐나다 입국을 준비 중이신가요? eSIM으로 간편하게 개통할 수 있는 합리적인 캐나다 핸드폰 요금제를 소개합니다. Public Mobile(퍼블릭 모바일)은 캐나다…
나이아가라 폭포 호텔 추천 메리어트 폴스뷰에서 즐기는 최고의 전망 후기
나이아가라 폭포 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호텔 선택이 고민되시죠? 나이아가라 폴스 메리어트 폴스뷰 호텔(Niagara Falls Marriott Fallsview Hotel &…
캐나다 이민,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영주권 취득 경로 총정리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교육과 삶을 위해 캐나다 이민을 꿈꿉니다.하지만 막상 준비를 시작하려고 하면 수많은 이민 경로와 조건…